본문 바로가기

9. 사요마요

by 3분투자머니 2025. 1. 29.

누적수익률 963% 김현준 대표가 답하는 주식으로 돈 버는 질문 40 사요마요_김현준 240214 p247 
한국의 가치투자 펀드 브이아이피자산운용의 최준철 대표의 추천문을 보고..
 
질문과 답의 형식으로 글을 써내려가고 있다. 확실한 답보다는 독자에게도 질문을 던지고 함께 생각하게 만드는 책이다. 이 책에서 주로 투자 초보자들을 겨냥으로 집필을 한 것으로 보인다. 시간이 나는 독자들은 읽어 보시길 바란다. 
 
1. 지금 삼성전자를 사되 되나요?
아무리 좋은 기업이라도 가격이 높으면 매력이 떨어진다. 다음 호황기이 올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멘탈과 자금만 있다면.
2. 언제 살지는 알겠는데 언제 팔지를 모르겠어요
거짓말!. 주식을 아무렇게나 사기 때문이다. 매수할 때 정당한 이유나 목표 가격을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자신만의 성공 공식을 찾아, 원칙을 찾아 반복적으로 수익을 내는 게 부자가 되는 길입니다. 
3. 종목은 몇 개가 적당할까요?
유동적이다. 종목 수가 늘어나면 수익률은 반비례로 낮아진다. 투자자금에 따라 집중할 필요가 있다. 종목 수가 아니라 좋은 기업 그리고 내가 잘아는 기업에게 투자하길.. 자기 원칙에 따라.
4. 가장 중요한 투자지표 딱 하나만 고른다면요?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자기자본으로 벌어들이는 당기순이익. PER, 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 주가가 1주당 수익률이 몇 배인지 보는 지표. 성장성과 관련된 지표. 투자시 투자지표를 하나 보는 일은 없다.누구나
5. 1천만원이 있다면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꾸릴까요?
투자자에 따라 다르다. 1억이라면, 투자성향에 따라 다르다.  레이달리오의 올웨더투자방식은 당연히 굴리는 돈이 많으니 안정적으로 가야지. 캐시우드님은 성장기에 나와 이름 날림. 그치.. 운도 따라야 함. 준비한자 이기에 가능함.
6. 가장 많은 수익을 낸 종목의 공통점이 있을까요?
부자들은 이런 주식을 삽니다. 요거 읽으세요. 
"정량적으로 매우 저렴한 주식을 사서 수익을 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수익률이 낮은 방식이다. 시간은 훌륭한 기업에게는 친구지만 형편없는 기업에게는 적이다. 훌륭한 기업에 오랜 기간 투자한다면 비록 조금 비싸게 사더라도 훌륭한 결과를 가져다준다. " - 워렌 버핏 Warren Buffett. 역시.. 
7. 지금 자산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구성돼 있나요?
1순위는 아파트 아파트~ . 1년치 생활비. 그리고 상장 주식
8. 가치투자란 도대체 뭔가요?
워런 버핏
9. 주식으로 부자된 사람들의 공통점을 알려주세요
전업투자자. 주요 투자 종목이나 업종, 투자 기간은 각기 다르지만 몇몇 종목에 집중투자!(물론 좋은기업, 잘아는 기업). 고집. 내향. 호기심. 승부욕. 자기관리 잘하는 사람
 

10. 주가가 하락할 때 멘탈을 부여잡기 힘들어요
종목을 잘못 캐취한 거라면 손실을 두려하지 말고 매도 후 다음기회로~ 아니면 좀 더 투자하기로 마음 먹었다면 반주 때리고 꿀잠.
11. 물린 주식 물탈까요, 손절할까요?
그 주식에 맹목적 믿음은 안되고 내가 틀릴 수도 있다는 겸허한 자세로 기업이 변해가는 모습을 끊임없이 따라갈 때 더 완벽한 추가 매입 기회가 찾아옴. 애초에 좋은 기업이나 내가 잘 알지 못한 기업을 사서 물리면 손절각이지요.
12. 차트는 아에 몰라도 되나요?
몰라도 되는 차트인데 옛날부터 책들은 도서관에 빽빽하게 왜 있을까요? 근데 작가님은 기술적 분석을 전혀 하지 않습니다. 라고 하네요. 잘몰라서..
13. 거시경제지표는 전혀 참고하지 않나요?
좀더 확실한 곳에 집중합시다. 바로 기업!  근데 몇가지는 보겠지요. 금리나..환율
14. 개별주식을 살까요, 지수를 살까요?
기업가치를 계산해 그보다 쌀 때 사고 비쌀 때 파는 법을 습득한 자? 는 개별주식... 아님 간접 투자로. ETF
15. 주식에 투자할까요, 부동산에 투자할까요?
자신이 잘 아는 것을 하세요. 다만 집이라는건 투자가 아니라 다른 의미로도 많이들 사지요. 
16. 전문투자자도 손실을 보나요?

17. 꼭 읽어야 하는 투자서 좀 알려주세요. 
초보자는 부의 추월차선_엠제이 드마코, 가치투자의 비밀_크리스토퍼 브라운, 경제적 해자_팻 도시
중급자는 투자를 어떻게 할 것인가_모니시 파브라이, 보수적인 투자자는 마음이 편하다_필립 피셔, 위대한 기업에 투자하라_필립 피셔, 작지만 강한 기업에 투자하라_랄프웬저,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_피터린치, 존 로스차일드 공저
18. 금리인상이 두려워요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양.
19. 남들이 좋다고 하면 그제야 사고 싶어져요
조급해지지말고, 남들과 같이 가지말고 때를 기다려라. 항상 미리 준비하고.
20. 현금비율은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요?
투자자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현금도 포트폴리오에 중요한 한 축입니다. 
21. 지금이라도 비트코인에 투자해야 할까요?
누군가가 더 비싼 가격에 되사주길 기대하고 사는 해위는 투기입니다. 놉
22. 국내 주식과 해외 주식 중 어디에 투자할까요?
분산, 투자자성향, 거시적 분석
23. 생활에서 투자 아이디어를 찾는 법이 있나요?
항상 호기심을 가지고 주변부터 훑어 봐라
24. 만약 주식투자를 하기가 겁난다면요?
사람의 기질에 따라 다르다. 호기심, 승부욕 등. 겁난다면 하지마세요. 그냥 ETF하세요
25. 일론 머스크가 좋아서 테슬라에 투자하고 싶어요
회사를 봐야지!
26. AI테마에서 좋은 주식을 고르고 싶어요
AI테마가 오르니까 사고 싶지요? 그러지말고 항상 변화무쌍한 주식시장에서 본인이 선점할 주식을 사세요
27. 개인은 기관을 이길 수 없지 않나요?
아니요. 오히려 유리할 수도 있음. 
28.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될 수 있을까요?
거버넌스 문제와 정부 정책은 시간이 지나고 시장 참여자들이 성숙해질수록 개선될 겁니다. 
29. 주식 공부를 하는 순서가 있나요?
주식을 먼저 팔아라. 물어보는 이유가 망하고 있어서라면... 나라면, 전자공시시스템을 다 이해하며 읽을 정도로 회계, 재무관리 등은 기본. 
30. 재무제표를 제대로 공부하고 싶어요
하세요. 
31. 꼭 지키는 투자 원칙이 있다면요?
좋은 기업을 싸게 사면됩니다. 
32. 올해 유망 섹터는 어디인가요?
한투방송, 머니투데이 방송 등 보세요 사람 꼬득이기 좋죠. 
33. 서른 살로 돌아간다면 어떤 주식을 사겠어요?
좋은 기업을 싸게 살거에요. 그니까 머! 그냥 테마주 포인트 다 알아서 치고 빠지고 하면 금방 부자. 정치테마주같은거, 코로나 터지기전 진단키트 그런거 아냐 ~ 물론 그런일은 없을테니. 
34. 레버리지 투자, 괜찮나요?
그냥 영업 레버리지가 높은 주식을 찾는데 집중(부채를 써서 이익을 많이 내는 회사). 빌려서 안하는게 좋을 듯
35. 종목 선정 기준을 알려주세요
자기 원칙을 찾아 종목을 선정하길 바랍니다. 참조만 하세요
36. 주가, 정말 안 보나요?
거의 안봅니다. 주가를 계속 보는 건 생산적이 않지요. 
37. 적정주가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추정재무제표를 작성하고 합당한 PER를 찾는 작업 3번을 한다고 하는데.. 적정주가 구하는 공식은 자기 원칙을 가지고 해야 합니다. 
38. 기업 관련 자료를 찾는 곳이 따로 있나요?
구글트렌드, 네이버, 전자공시시스템 등 많지요.
39. 다음 메가트렌드는 뭔가요?
방송보세요
40. 좋은 업종 중에서 1등을 고르는 방법이 있나요?
네이버, 구글 트렌드, 블랙키위